Navisworks는 토목(Civil Engineering) 현장에서 모델 검토, 협업, 공정 관리, 물량 산출 등을 목적으로 매우 다양하게 활용됩니다. 특히, 대규모 현장(도로, 교량, 터널, 댐, 지하 인프라 등)에서는 Navisworks의 3D 시각화 및 협업 기능이 효율성을 높이는 데 큰 기여를 합니다.
아래는 토목 현장에서 Navisworks를 활용할 수 있는 주요 방법과 실제 사용 사례입니다:
1. 통합 모델 관리 및 검토
1.1 공정별 모델 병합 및 관리
- 재료/부재 모델 통합: 토목 프로젝트에서는 다양한 소프트웨어에서 모델을 설계합니다(Revit, Civil 3D, Tekla 등). Navisworks는 여러 형식의 파일(NWC, DWG, IFC 등)을 통합하여 하나의 관리 가능한 모델을 생성합니다.
- 파일 형식 호환: Civil 3D, AutoCAD, Bentley MicroStation 등에서 만든 도로, 터널, 교량 설계 데이터를 통합하여 3D 모델로 전환.
- 부재별 관리 가능: 교량의 교각, 도로의 층별 구조(아스팔트, 보강재, 배수 관로) 등을 분리한 뒤 물량 산출 및 검토 진행.
사용 사례: 터널 공사에서 내벽 라이닝, 다짐층, 배수관 등을 포함하는 설계 도면과 시공 데이터를 통합하여 설계와 작업이 일치하는지 확인 가능.
2. 시공 시뮬레이션 및 공정 관리 (4D/5D BIM)
2.1 TimeLiner를 활용한 공정 관리
- Navisworks의 TimeLiner 도구를 사용하여 토목 공사의 시공 과정을 4D(시간+3D 모델)로 시뮬레이션.
- 작업별로 공사 일정을 Linked(Primavera P6 또는 MS Project와 연계)하여 공사 진행을 실시간으로 모델에서 확인 가능.
- 강점: 시공 순서를 사전에 점검하여 작업 간 간섭을 최소화하고, 시공 속도를 가시화하여 팀 간 의사소통 개선.
사용 사례:
- 교량 시공 시 교각 → 상부 구조 → 포장 순서로 작업 프로세스를 예상해 공정 지연률을 확인.
- 도로 공사에서는 땅 파기(Excavation), 콘크리트 타설, 보강층 설치 등의 시공 순서를 시뮬레이션해 진행 상황을 판단.
3. 간섭(Collision) 검토
현장에서 구조물과 설비, 도로, 관로 등이 복잡하게 얽힐 가능성이 높습니다. Navisworks의 Clash Detection Tool을 사용하면 시공 전에 문제를 발견 및 조정할 수 있습니다.
3.1 주요 활용 시나리오
- 배관/수로 등 토목 설비 간섭 검토: 상·하수도관, 케이블 트레이, 변전소 등의 설비가 겹치는 부분 확인.
- 구조물 간 간섭 검토: 토공과 구조물(셀프 식터널/교량 기초) 간 간섭 여부 확인.
3.2 검토 결과 보고
- Clash Test Report 출력: 간섭이 발생한 부위를 리스트로 정리하여 Excel, PDF 등으로 보고한다.
- 간섭 문제가 발견되면 설계 변경 사항을 프로젝트 참여자와 공유.
사용 사례: 지하 터널 공사에서 전기 케이블 및 배관 시스템이 구조물(지지 벽체)과 간섭하는 부분을 사전에 확인하고 설계를 수정.
4. 물량 산출
토목 공사에서 필요한 재료 수량(콘크리트, 철근, 아스팔트, 기초층 등)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Navisworks의 Quantification 도구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4.1 Quantification 도구 사용
- 토목 구조 재료 산출:
- 토공: 절토 및 성토 작업에 필요한 토사량 계산.
- 도로 포장: 아스팔트나 콘크리트의 면적/두께에 기반한 부피 계산.
- 교량 폐합 구조물의 연결부 자재량 산출.
- 재료 추정: 도로 길이에 기반한 아스팔트, 철근 산출, 교각 기초 설치를 위한 거푸집 재료 계산.
사용 사례:
- 도로 공사를 위한 아스팔트 두께(예: 10cm, 면적 300㎡)에 따른 정확한 부피를 계산하여 재료를 사전 준비.
- 교량 공사에서 콘크리트 및 강재량을 빠르게 산출.
5. 현장 시각화 및 협업
5.1 사이트 시각화
Navisworks는 3D, 4D 모델을 통해 프로젝트 참여자들에게 공정 및 설계를 시각적으로 전달하는 데 유용합니다.
- 교량 및 도로 시뮬레이션: 현장 작업자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시공 상태를 3D 모델로 시뮬레이션하여 제공.
- 가상 시운전: 설계가 완료된 상태의 토목 구조물(도로, 교량, 터널)을 가상으로 시뮬레이션, 포장 상태 확인.
사용 사례: 도로 공사에서 포장 기계들이 작업할 이동 경로를 검토하거나, 댐 공사에서 수로 설계가 올바르게 배치되었는지 확인.
5.2 공동 작업 및 의견 공유
Navisworks의 기능을 활용해 프로젝트 팀 간 협업을 활성화:
- Markup 및 의견 기록: 모델 상에서 특정 부재에 메모 또는 주석을 추가해 시공팀과 설계사의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히 함.
- Navisworks Freedom Viewer: 현장 인력들이 무료 뷰어를 사용하여 설계 정보를 확인.
6. 드론 데이터를 활용한 시공 진행 검토
토목 현장은 방대한 면적을 다루기 때문에 드론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Navisworks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드론으로 촬영한 현장 점검 데이터를 모델에 매핑해 실제 시공 상태와 BIM 모델 비교.
- 현장 진행률 보고: 현장 상황을 모델과 비교하여 공정을 확인하고 시공 오차를 줄임.
사용 사례:
- 도로 공사의 절토 및 성토 작업에서 드론으로 촬영한 지형 데이터를 Navisworks의 모델로 통합하여 설계와 시공 차이를 시각화.
7. 시공 품질 및 안전 관리
- 현장 장비 이동 경로 검토: 대형 크레인, 덤프트럭 등 장비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Navisworks로 시뮬레이션.
- 시공 품질 확인: 설계한 위치 및 크기로 모델이 정상 시공되었는지 모델 기반 검토 가능.
사용 사례: 터널 공사 시 안전한 장비 배치를 검토하거나, 댐 굴착 위치의 시공 오차 확인.
'공부하기 > 캐드 CA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산응용토목기능사 필기 문제 풀이 (토목제도 및 전산응용제도) (0) | 2023.03.10 |
---|---|
철근 및 콘크리트에 관한 일반적인 지식 1. 철근 (0) | 2023.02.22 |
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필기 시험 요약 (토목구조물에 관한 일반적인 사항) (2) | 2023.01.29 |
거푸집 용어와 종류 정리 (0) | 2023.01.27 |
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필기 시험 요약 (제도에 관한 일반적인 사항) (0) | 2023.01.26 |
최근댓글